<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으로 진루하여 3루타를 만들어낸 한화이글스의 오선진>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 상황이 벌어지는 장면>
위의 영상을 보면 한화이글스의 오선진이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헛스윙 삼진을 당하는 장면이다. 하지만 삼진아웃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1루로 달려나가고 있다. 그리고 아나운서는 낫아웃이라고 실컷 외치고 있다. 이어 송광민은 1루에서 세이프 판정을 받고 1루주자가 되었다.
삼진아웃을 당하였는데 어떻게 1루로 진루하게 된 것일까?
삼진아웃을 당하였어도 1루로 진루할 수 있는 것은 몇가지 조건이 부합되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다.
그 조건이 부합이 될 때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라고 부른다.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의 조건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타자가 2스트라이크 이후에 추가로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으나
포수가 이 공을 포구하지 못하고 놓친 경우(즉, 공을 포수가 잡기전에 그라운드에 공이 닿은 경우) 삼진으로 기록이 되지만
낫아웃으로 인정되며, 타자는 1루로 뛰어갈 수 있다.
단, 아웃카운트가 없거나 1아웃인 경우 1루에 주자가 없을 때만 낫아웃이 성립이 되며,
2아웃인 경우 주자의 유무와 관계없이 낫아웃이 성립이 된다.
이 때 아웃을 시키기 위해서는 포수가 공을 포구하여 1루로 송구하여 아웃을 시켜야 한다.
위의 영상은 9회초 한화이글스의 오선진이 두산 투수의 공을 헛스윙하고 삼진 당한 상황에서 낫아웃임을 판단하고 3루까지 내달린 낫아웃 3루타가 기록되는 장면이다. 진기명기한 장면이라고 볼 수 있다.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 만들어낸 명장면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으로 승리가 뒤바뀐 경기>
1997년 8월 23일 쌍방울 레이더스와 삼성라이온즈간의 대구시민야구장에서 경기가 있었다. 9회까지 1:4로 삼성라이온즈가 경기를 리드하고 앞서나아가고 있던 상황이었다. 2사 주자 1,2루 상황에서 대타 장재중이 타석에 섰고, 볼카운트 2스트라이크 1볼 상황에서 헛스윙 삼진을 당하였다.
이 때 공은 원바운드로 포수 미트에 들어갔다. 여기까지는 정상적인 플레이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당시 삼성라이온즈의 포수였던 김영진 선수는 팬서비스 차원에서 승리의 공을 관중석으로 던져버렸다. 이 때 덕아웃으로 들어가려던 장재중에게 당시 쌍방울 레이더스 감독이었던 김성근은 1루로 달리라고 지시하였고, 삼성 라이온즈 백인천 감독 역시 1루에 공을 던지라고 덕아웃에서 뛰쳐나오고 있던 상황이었다.
심판진은 경기 종료를 선언하고 경기는 1:4 종료를 선언하며 중계방송 자막까지도 삼성라이온즈의 승리로 마무리되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김성근 감독은 심판진을 가로막아서며 강력하게 항의하였고, 항의는 곧 인정되었다.
볼데드 선언으로 주자는 2개 베이스에 진루하게 되었고, 쌍방울은 이 날 경기를 뒤집어 6:4 역전승을 거두게 된다.
글을 읽고 싶지 않은자는 아래의 동영상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으로 바꿔버린 기적적인 승리>
이 경기는 아주 특이한 케이스이다.
게임종료선언 -> 관중석 볼 선사 -> 삼진 낫아웃 항의 -> 심판 오심 사과 -> 경기속개 역전 쇼
이것이 그대로 일어난 상황이다.
스트라이크 낫아웃은 이런 경우이다.
해외프로야구에서의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
해외 프로야구에서도 스트라이크 낫아웃이 많이 나오지는 않지만 종종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일본에서도 특이한 경우가 있었는데 1960년 7월 19일 마이니치 다이아미 오리온즈(현 치바롯데마린스)와 도에이 플라이어츠(현 닛폼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8회초 2사만루 상황에서 루킹 삼진이 되었고, 포수가 원바운드로 포구를 하였다. 도에이는 공수교대가 된 것으로 파악하고 수비수들을 불러들였다. 하지만 다이아미 선수들은 수비수들이 들어오는 동안 모두 홈플레이트까지 돌아서 들어왔고,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에서 만들어진 만루홈런이 기록되었다.
스트라이크 낫아웃은 또다른 진기록도 만들어내는데,
기록은 삼진으로 기록이 되기 때문에 투수는 1이닝 4삼진까지 만들어낼 수 있다.
2아웃을 삼진으로 잡고,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을 삼진으로 잡은 후 다음 후속타자를 또다시 삼진으로 잡는다면 4개의 탈삼진을 한이닝에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이저리그에서는 1이닝 4탈삼진이 수십번 발생을 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레일리가 2015년에 기록을 한적이 있다. 이것이 무한 반복되면 수십개의 삼진도 계속할 수 있는데, 현재까지 1이닝 5탈삼진은 존재하지 않는다.
스트라이크 낫아웃 규정을 안다면, 더욱 즐겁게 프로야구를 즐겨볼 수 있을 것이다.
<공감과 댓글은 한국프로야구를 발전시킵니다.>
'야구 알아보기 > 야구용어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드샷퇴장규정] 보우덴의 장영석 헤드샷. 헤드샷퇴장룰을 신설한 배영섭, 리즈룰. (0) | 2017.08.12 |
---|---|
[스위치타자] 양손타자의 야구, 양손잡이 스위치타자란 무엇일까? (0) | 2017.08.08 |
[언더핸드모음] 박종훈을 비롯한 역대 언더핸드 투수들은 누구일까? (0) | 2017.08.01 |
[배트플립] 일명 빠던이라고 불리는 배트플립이란 무엇인가? 빠던이란? (1) | 2017.07.20 |
[탈쥐효과] LG트윈스 선수들의 성공기 탈쥐효과. 탈쥐효과란 무엇인가? 탈쥐효과의 원인은? (0) | 2017.07.15 |
댓글